이미지 리소스 앱개발 테스트용 이미지 리소스 2025. 11. 9. Cursor vs. Claude Code AI가 코드를 대신 짜주는 시대, 개발자의 역할은 어떻게 변하고 있을까요?최근 가장 주목받는 두 AI 코딩 도구, Cursor와 Claude Code는 이 질문에 대해 서로 다른 답을 제시하며 개발자들의 작업 방식을 근본적으로 바꾸고 있습니다. 하나는 똑똑한 페어 프로그래밍 파트너처럼, 다른 하나는 유능한 프로젝트 감독관처럼 작동하죠. 두 도구의 철학, 기술, 그리고 당신에게 더 적합한 선택은 무엇일지 심층적으로 비교 분석해 보겠습니다.1. 개발 철학: '함께하는 페어 프로그래머' vs. '지시하는 감독관'두 도구의 가장 큰 차이점은 개발자를 어디에 위치시키느냐에 있습니다.Cursor: 개발자 주도 (In the Loop) Cursor는 개발자가 코드의 중심에 있도록 돕습니다. 마치 숙련된 동료와 함께 .. 2025. 10. 12. [R.N] 아날로그 시계만들기 React Native 아날로그 시계 애니메이션 구현기 (RN Animated API)React Native + TypeScript로 “아날로그 시계(시·분·초침 + 숫자 + 센터 점)”를 직접 그려서 애니메이션까지 완성한 기록. 깃허브 커밋 타임라인을 그대로 정리하고, 핵심 구현 아이디어와 수학식을 간단히 메모. https://github.com/heesangs/Analog-Clock-Animation GitHub - heesangs/Analog-Clock-Animation: tutorialtutorial. Contribute to heesangs/Analog-Clock-Animation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github.com 1) 무엇을, .. 2025. 10. 10. 마음의 기술 마음의 기술(뇌과학과 심리학으로 치유하는) 마음의 기술 인공지능과 함께 뇌과학에 대한 관심도 높어지고 있는것 같다.예전같은면 심리학에만 초점을 맞춘 마음의 기술이 책으로 나왔겠지만, 뇌과학도 연관되어있다니!나의 경우는 최근 우울증때문에 고생을 좀 했었는데 그때 읽은 책들과 얻은 정보들로 뇌에 대한 호기심이 좀 생긴 상태이다. 이 책은 크게 3가지 파트로 나눠서 설명하고 있다.뇌를 이해하고 -> 뇌를 다루는 법을 배우고 (통제하고) -> 일상에서 실천하는 것이다. 나는 이 책에서 뇌의 이해에 방점을 두고 내가 뇌를 다루는데 부족한 부분이 무엇인지 생각해보면서 접근해보고자한다. 뇌 이해하기 파트는 좀 꼼꼼히, 다루는법부터는 필요한것만 쏙쏙 뽑아서 읽을 예정이다. 일상 실천은 책을 읽는게 아니라 직접 테스.. 2025. 9. 6. 트렌드코리아 2025 우리 무이가 고등학교를 다니고 있는데 학교에서 이 책을 주더란다. 트렌드에 최전선에 있어야할 내가 가장 먼저읽어야할 책을 고등학교를 다니는 60대 할머니가 나보다 먼저 이 책을 읽는다는게 말이 되는 일인가! 울 무이에게 물었다. "이 책 읽었어?" "아니 안 읽는다. 니 가꼬가서 읽어라."'오예, 땡큐!' 라는 생각이 들면서 단 1초에 망설임도 없이 무이에게서 받아왔다. 내가 얼마나 트렌드에 관심이 없고 무지했는지를 알려준 무이와 트렌트코리아책에게 감사하며 이 책의 정리를 시작하겠다. 이 책의 흐름은 다음과 같다. 1) 먼저 지난 2024 대한민국에 대해 분석하고2) 2025년의 소비자에 대해 분석한 후3) 세부적인 키워드를 중심으로 트렌드를 설명해준다. 먼저 2024년 대한민국에 대해 알아보자.초효율.. 2025. 7. 16. 가짜불안 0.가짜불안운전시 비상 브레이크를 밟지 생각하지 않는것과 같이,불안은 실체가 없으므로 why? 왜 생기나가 아니라, how! 어떻게 대처할까?에 초점을 맞춘다.(생각 -> 행동) 1. 지금 그 불안은 실체가 없다. 자연스럽게 그대로 받아들이면 된다. a. 현재의 내 감정은 무엇인가?감정을 알면 불안이 줄어든다. 나의 마음에 부정적인 카톡이 왔는데 그것을 읽지 않으면 더 찜찜하다. 따라서 감정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고 이것을 정보로 활용하는것이 필요하다. (약간 T 느낌으로). 나에게 왜 이런 감정이 생긴거지? 감정 자체는 좋은것도 아니고 나쁜것도아니다. 감정은 세상과 우리를 연결하고 변화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꿀정보!. 그래서 내가 감정적으로 불안하거나 우울한 느낌이 들때 주문을 거는 말이 .. 2025. 7. 4. 이중 하나는 거짓말 제목을 보면 어떤 생각이 드나? 거짓말 이란 단어때문에 조금 불편하지 않나?왠지 사람을 속이는 내용이 들어있을것 같다는 생각이 들수도 있다. 하지만 이 소설에서의 거짓말은 진실을 위한 도구이고 진실을 선명하게 해주는 촉매로 볼수도 있다. 거짓말이라는 부정적인 측면도 얼마든지 빛의 이미지처럼 긍정의 모습을 담을 수 있다는 말이다. 실제로 지우라는 남자주인공의 엄마가 읽어준 동화이야기에 '빛' 이라는 동화가 나오는데 여기에서 신이 가장 먼저 만든것은 어둠이고 신이 이 어둠이 좋아 첫날은 어둠안에 밤을 덮고 아무것도 하지 않았다는 표현이 나온다. 이 소설은 죽음과 맞닿아있다. 인물들마다 그 죽음을 대하는 태도가 다르기도 하고 또 비슷한 측면도 있다. 특히 각 캐릭터의 엄마가 자식을 대할때는 다 똑같다는 생각.. 2025. 6. 29. 기억한다는 착각 오랜만에 좋은 책을 읽었다. 단순히 뇌과학의 지식을 쌓는다는것보다 사람의 '기억'에 대한 메커니즘이 어떻게 구성되고 변화되는지를 이해하기 쉽게 풀어놓은 책이라고 할 수 있다. 영어 제목은 why we rememeber (왜 우리는 기억하는가) 이고 부재는 unlocking memory's power to hold on to what matters. (중요한것을 붙잡기위한 기억의 힘) 정도로 의역할 수 있을것 같다. 즉, 기억에 대한 망각은 더 중요한것을 기억하기 위한 자연스러운 것이다.그래서 이 책에서는 먼저 기억을 잊어버린다는것에 대한 오해를 풀고, 기억의 원리를 이해하고 정보가 넘쳐나는 이 시대에 어떻게 더 잘 기억할 수 있는지에 대한 내용을 다루고 있다. 1. 왜 어떤 기억은 남고 어떤 기억은 사.. 2025. 6. 23. [R.N] 리액트 네비게이션 리액트 네비게이션저번 예제에서 하나의 페이지만 구현했는데 이번엔 리액트 네비게이션을 사용해 여러페이지(스크린)을 구현했다. 메뉴를 구성할때는 stack, 사이드드로우를 구성할때는 drawer를 사용했고 가상으로 더미데이터를 만들어서 컴포넌트에 맞게 데이터를 뿌려주고 contextAPI와 redux를 활용해 즐겨찾기를 구현해봤다. 그밖에 컴포넌트를 디테일하게 나누고 스타일링도 하면서 리액트네이티브와 좀 더 친해지는계기가 되었다. https://github.com/heesangs/RnNavigation GitHub - heesangs/RnNavigation: basic navigation appbasic navigation app. Contribute to heesangs/RnNavigation deve.. 2025. 5. 1. 이전 1 2 3 4 ··· 11 다음